8일 수보회의서 “정부에 최종 책임, 정치권 초당적 협력”
“불평등 해소·고용위기 극복에 다각도 지원책 강구” 강조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문재인 대통령은 8일 현재 코로나19 위기 상황과 관련해 “한번도 겪어보지 못한 위기 상황인 만큼 범국가적 역량 결집이야말로 위기극복의 힘”이라면서 “정부는 재정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과감하게, 실기하지 않고, 충분한 위기극복 방안을 강구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현실적은 여건 속에서 무엇이 최선인지 판단하기 쉽지 않다. 최종적인 책임은 정부에 있지만 정치권이 정파적 이해를 뛰어넘어 초당적으로 협력해야 할 과제”라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최근 코로나 확산세가 다소 완화되는 가운데 백신 접종이 초읽기에 들어갔고, 국산 치료제도 조건부 허가를 받아 사용에 들어갔지만 완전한 일상 회복의 길은 멀고도 험하기만 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위기 속에서 잘하고 있는 부분과 어려운 부분을 직시하면서 잘하고 있는 부분은 더 잘하도록 노력하고 어려운 부분은 현실적인 극복 방안을 찾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먼저 문 대통령은 “코로나가 전 세계에 준 충격은 실로 막대하지만 대한민국이 보여준 역량을 대단했다”며 “K방역의 우수성뿐 아니라 코로나와 전쟁을 치르는 와중에도 우리사회 전 영역에서 놀라운 진전을 이뤘다. 한국은 위기 속에서 더욱 강한 경제의 면모를 보여줬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성장률, GDP 규모와 1인당 국민소득, 국가신용등급, 재정건전성 등 주요 거시경제 지표에서 확인되듯이 한국이 국제사회로부터 경제위기를 가장 잘 극복한 나라로 평가받고 있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면서 “경제부총리를 중심으로 비상경제체제를 가동하며 전례없는 정책적 수단으로 경제위기에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처한 결과로 평가된다”고 덧붙였다.

   
▲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이 밖에 무디스의 국가신용 평가와 기업활동 평가 등을 더 언급한 문 대통령은 “정부뿐 아니라 우리기업들이 사회책임 투자와 지속가능 투자를 강화하는 등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얻은 매우 의미있는 결과”라고 했다. 

또 문 대통령은 블룸버그 혁신지수에서 1위, 이코노미스트 발표 민주주의 지수에서 ‘완전한 민주주의 국가’ 대열에 다시 합류, 국제투명성 기구 발표 ‘국가별 부패인식지수’ 순위 상승 등을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 같은 국제사회의 긍정적 평가는 우리사회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징표”라며 “위기 극복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하면서도 우리사회 전 분야에 개혁의 속도를 늦추지 않은 결과이다. 우리 국민들이 이룬 결코 폄하될 수 없는 국가적 성취이며 국민적 자부심”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이러한 우수한 지표들이 당장 하루하루가 어려운 국민들에게 현실적인 위로가 될 수 없을 것”이라며 “정부는 어려운 민생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잠시도 멈출 수 없다. 무엇보다 분명해진 시대적 과제로서 불평등과 격차를 해소하는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정부는 고용위기 극복에 힘을 쏟으면서 어려운 국민들을 위한 피해지원책을 다각도로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문 대통령은 “지역균형 뉴딜에 가속을 붙여나가겠다”며 “지역 중심의 디지털·그린 뉴딜과 신산업 활성화로 국가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력, 양질의 일자리와 주민 수익 창출 등 일석삼조, 일석사조의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세계적으로 대세가 된 2050 탄소중립을 향한 노력도 본격화하겠다”면서 “에너지 전환과 산업 전 분야의 저탄소화를 추진하기 위한 노력에 속도를 내면서 전기차 분야와 수소경제 등 우리가 앞서나가고 있는 산업을 더욱 발전시키고 저탄소 기술혁신을 국가전략으로 강력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