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는 지식이 넘치는 사회이지만, 역설적으로 가치관의 혼돈을 겪고 있는 ‘지혜의 가뭄’ 시대이기도 합니다. 우리 사회가 복잡화 전문화될수록 시공을 초월한 보편타당한 지혜가 더욱 절실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고전에는 역사에 명멸했던 위대한 지성들의 삶의 애환과 번민, 오류와 진보, 철학적 사유가 고스란히 녹아있습니다. 고전은 세상을 보는 우리의 시각을 더 넓고 깊게 만들어 사회의 갈등을 치유하고, 지혜의 가뭄을 해소하여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사단법인 행복한 고전읽기’와 ‘미디어펜’은 고전 읽는 문화시민이 넘치는 품격 있는 사회를 만드는 밀알이 될 <행복한 고전읽기>를 연재하고자 합니다. [편집자 주]

박경귀의 행복한 고전읽기(115)- 영혼의 성장을 이끈 그리스의 소년애
플라톤(BC 427~BC 347) 『파이드로스』

 
   
▲ 박경귀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
소크라테스는 연애박사다. 하지만 뭇 여성들과 숱한 염문을 뿌린 사랑의 달인이란 뜻은 결코 아니다. 사랑의 본질을 누구보다도 심층적으로 궁구하여 이해한 사람이란 뜻이다. 그는 플라톤의 대화편 <향연>과 <파이드로스>에서 인간 사랑의 속성을 적나라하게 파헤쳤고, 가장 아름다운 에로스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설파했다. 소크라테스는 최고의 사랑의 가이드이다. ​

소크라테스는 <향연>에서 정신적 사랑과 육체적 사랑을 '판데모스-에로스'와 '우라니아-에로스'로 구분한 바 있다. <파이드로스>의 사랑학 강의 역시 큰 맥락에서 <향연>의 담론과 연결된다. 다만 이 책에서는 연설문 작성가인 뤼시아스의 소년애 사랑론에 대한 풍자와 비판형식을 취하고 있다.

대담자는 소크라테스와 파이드로스다. ​소크라테스와 파이드로스는 아테네 교외의 일리소스 강변으로 나아가 전원의 아름다운 풍경을 즐기며 대담을 나눈다. 사랑론을 이야기하기에 잘 어울리는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다. 다른 대화편의 주변 환경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파이드로스는 뤼시아스가 연설한 사랑론을 소개하며 이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평론을 요구한다. 뤼시아스의 소년애에 대한 골자는 "자기가 사랑하는 사람보다 자기를 사랑하지 않는 사람에게 더 기쁨을 주어야 한다"는 역설적인 주장이다.

뤼시아스 주장의 논거는 이렇다. 사랑을 하는 사람은 사랑받는 사람의 아름다운 육체에 끌리게 되며 육체적 욕망이 충족되고 나면, 사랑의 열정이 식어버려 오랫동안 우애를 나누기 어렵다는 것이다. 특히 사랑하던 사람의 질투심은 사랑받는 이의 능력 발휘와 발전을 저해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여기까지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긍할 만하다. ​

그런데 그 다음의 뤼시아스의 해법이 독특하다. 뤼시아스는 사랑을 받는 소년에게 이렇게 권고한다.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보다 사랑을 하지 않는 사람에게 기쁨을 줄 때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된다고 말이다. 이는 특정한 사람과의 육체적 사랑이 식은 뒤의 사랑의 변화에 대응하는 역설적인 주문인 셈이다. 차라리 일시적 사랑에 얽매이지 말고 오랫동안 우애를 나눌 수 있는 뜨겁지 않은 사랑을 하라는 얘기다.

뤼시아스의 사랑법은 이기적, 타산적 사랑법이다. 어쩌면 타산적일 수밖에 없는 사랑의 냉정한 속성을 직시하도록 유도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여기서 논의되는 사랑의 형태는 당시 그리스 세계에서 관습적으로 용인되던 소년애이다. 뤼시아스는 소년을 사랑하는 성인 남성과 어린 소년과의 사랑에서 소년이 취해야할 바람직한 사랑법을 이렇게 주문한 것이다. ​

소크라테스는 파이드로스가 들려준 뤼시아스의 사랑법에 대해 동일한 연설 방식을 취해 비판한다. 소크라테스는 사랑을 하지 않는 사람에게 사랑의 기쁨을 나누어주어야 한다는 뤼시아스의 주장은 "참되지 않다"고 말한다. 사랑하지 않는 사람에게 사랑의 기쁨을 주게 될 때 더 우애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뤼시아스의 주장에 전혀 동의하지 않는 것이다.

소크라테스는 열렬히 사랑하지 않는 사람에게 어떻게 타산적 계산만 갖고 사랑을 줄 수 있을지 의문하는 것이다. 사랑에 빠진 사람은 일종의 광기에 사로잡히게 되는 데, 훌륭한 것들은 어느 정도 광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게 아니냐는 것이다. 즉 어느 정도 광기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사랑하는 사람에게 사랑을 쏟는 것이 자연스런 일이라는 의미다. 더구나 신적인 섭리에 의해 생기는 사랑의 광기는 아름답고, 그런 사랑을 나누는 사람들 사이의 사랑이 더 견고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뤼시아스의 주장은 육체적 사랑이 식은 뒤의 부정적 측면에 대한 반발적 대응으로 제기된 측면이 크다. 하지만 소크라테스는 애초에 소년을 사랑하는 사람과 소년의 관계를 육체적 욕구의 측면에서 바라보기보다 영혼의 고양을 이끄는 지혜 사랑의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그는 영혼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진정한 혼이 소년의 아름다움을 바라보고 열망에 사로잡힌 것이라면, 그를 볼 수 있다면 어디든 언제라도 달려가는 상태가 되는 것은 자연스럽다는 것이다.

또 이런 사랑을 하는 사람이라면 사랑받는 이의 영혼을 이끌어 자신이 공경하는 신과 닮은 상태로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해 애쓰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뤼시아스가 사랑하는 사람이 사랑 받는 이를 질투하여 그의 발전을 저해하게 된다고 보는 관점과 확연히 대립된다. 소크라테스가 상정하는 사랑은 사랑하는 사람이 사랑 받는 사람을 선과 지혜로 이끄는 관계이기 때문이다. ​

결국 사랑을 받는 소년은 사랑하는 사람에게서 "신에게 하는 것과 같은 극진한 보살핌"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이들의 사랑은 사랑하지 않는 사람 또는 다른 친구들이 베푸는 우애의 몫을 모두 합친 것 보다 훨씬 더 크다는 것이다. 이는 사랑하지 않는 사람에게 기쁨을 베풀 때 더 큰 이익이 돌아온다는 뤼시아스의 역설적 주장을 확실하게 반박하는 셈이다. 소크라테스는 사랑하는 사람이 혼에서 우러나오는 사랑을 쏟고, 사랑받는 소년애인이 절제 있는 '마중 사랑'으로 응대할 때 지속가능한 큰 우애가 만들어진다고 보는 것 같다. ​

   
▲ 아테네 학술원 앞에 있는 소크라테스 좌상 ⓒ박경귀

<파이드로스>에 나오는 고대 그리스 세계의 소년애 이야기는 현대인에게 매우 낯설다. 소년애, '파이데라스티아(paiderastia)'는 당시 사회적으로 권장되는 관습이었다. 성인의 선택을 받지 못하는 소년의 경우 무슨 결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소년 역시 그런 상황을 수치스럽게 생각했던 것이 당시 일반적 관념이었다. 고대 그리스의 동성애는 성인 대 성인의 사랑이 아니었다. 성인과 소년과의 정신적 유대를 동반한 사랑의 형태였다. 이런 관계는 기본적으로 그리스인들의 지적 활동의 연장인 측면이 강했다.  

성인들은 소년들을 훌륭한 전사이자 시민으로 길러낼 책무가 있었다. 어른들은 소년에게 남성다운 덕성을 제시해 주어야 했고, 소년들에게 인생의 상담자이자 친구가 되어 주어야 했다. 따라서 소년애의 당사자인 성인 남성은 자연스럽게 소년을 훌륭하게 육성하는 개인교사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남성 중심의 공동체 사회에서 한 사람의 소년을 사회의 당당한 남성으로 성장시키는 것은 공동체 전체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그 일을 기성세대가 각자 책임을 지고 분담했던 것이다.  ​

따라서 현대인의 동성애와 그리스의 소년애를 동등한 의미로 바라보아서는 안 된다. 동년배 성인 남성 사이의 사랑과 고대 그리스의 소년애는 본질적 의미와 표현 방식에서 상당히 다르다. 당시의 소년애는 자유시민으로서의 성인 남성이 미소년의 육체적 아름다움만 탐하는 관계가 아니었다. 오히려 소년을 자유 시민이자 공동체의 전사로 키워내기 위해 필요한 시민적 덕성과 영혼의 성숙을 인도하는 관계가 결부된 개념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성인 남성이 소년을 육체적으로 탐닉하는 것은 수치스러운 일로 여기지는 게 당시 대부분의 도시국가 의 사회적 통념이었다. 소크라테스의 소년애에 대한 철학 역시 이런 시대적 관념을 잘 대변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소크라테스의 사랑법이 담고 있는 근본 취지는 오늘날 남녀 간의 사랑에 대입하여 생각해 봐도 큰 의미가 있을 것 같다. 소크라테스가 강조하는 바람직한 사랑의 관계는 아름다운 영혼의 사랑이다. 이는 한 순간의 욕망으로 불꽃처럼 타올랐다 금방 사그라드는 사랑이 아니다. 다시 말해 혼에서 우러나오는 깊은 사랑으로 동반자를 자신이 추구하는 지선(止善)의 상태로 이끌어 줄 수 있는 그런 사랑의 관계를 의미한다. 소크라테스의 사랑은 불타는 열정 뒤에 따르는 차가운 허무를 직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사랑을 모색하고 있는 듯싶다. ​

소크라테스는 이 책의 말미에 사랑의 주제와 다소 동떨어진 듯 보이는 말과 글의 중요성에 대한 이야기하고 있다. 여기서 좋은 이야기와 나쁜 이야기를 구별하는 방법이나 글쓰기의 적정성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이 대목들은 위에서 길게 주장한 사랑론과 무관한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랑을 또 다른 차원으로 논의하기 위한 연결 장치로 보인다. 즉 말과 글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도 사랑을 주는 사람이라면 진실로 지혜를 갖춘 사람이어야 함을 강조하기 위해서인 것 같다. 소크라테스는 지혜사랑을 동반한 소년애만이 아름다운 사랑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일 것이다. ​

그러고 보면 소크라테스가 요구하는 사랑하는 사람이 먼저 갖춰야 할 조건은 상당히 까다로운 셈이다. 말과 글에 진실이 담겨야 상대를 설득할 수 있다는 것도, "살아 있고, 혼이 담긴 이야기"를 통해 상대의 혼을 일깨울 수 있다는 것도 모두 지극한 지혜 사랑에서 나온 그의 통찰이다. 바람직한 소년애에서 시작하여 사랑하고 사랑받는 사람들이 추구해야 할 지혜사랑의 방법론으로 확장해 나간 <파이드로스>는 시대를 뛰어넘는 성찰적 사랑의 모범적 답안을 담고 있는 소중한 고전이다.​  /박경귀 대통령소속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사단법인 행복한 고전읽기 이사장

   
▲ ☞ 추천도서: 『파이드로스』, 플라톤 지음, 김주일 옮김, 숲(2012), 244쪽.

[박경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