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는 지식이 넘치는 사회이지만, 역설적으로 가치관의 혼돈을 겪고 있는 '지혜의 가뭄' 시대이기도 합니다. 우리 사회가 복잡화 전문화될수록 시공을 초월한 보편타당한 지혜가 더욱 절실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고전에는 역사에 명멸했던 위대한 지성들의 삶의 애환과 번민, 오류와 진보, 철학적 사유가 고스란히 녹아있습니다. 고전은 세상을 보는 우리의 시각을 더 넓고 깊게 만들어 사회의 갈등을 치유하고, 지혜의 가뭄을 해소하여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사단법인 행복한 고전읽기'와 '미디어펜'은 고전 읽는 문화시민이 넘치는 품격 있는 사회를 만드는 밀알이 될 <행복한 고전읽기>를 연재하고자 합니다. [편집자 주]

박경귀의 행복한 고전읽기(110)-이성과 탁월성을 추구하던 그리스 정신
이디스 해밀턴( 1867~1963) 『고대 그리스인의 생각과 힘』

   
▲ 박경귀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
1930년에 출간된 『고대 그리스인의 생각과 힘(The Greek Way)』은 고대 그리스의 역사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을 통해 고대 그리스인들이 성취한 그리스 문명의 위대성을 잘 드러내준 역작이다. 이디스 해밀턴(Edith Hamilton, 1867~1963)은 19세기말과 20세기 초의 민족주의와 산업자본주의가 몰고 온 급격한 사회변동의 와중에서 근대정신의 원형을 지난 역사 속에서 찾으려 했다. 이성과 진리를 추구하며 인류 문명의 원류를 만든 고대 그리스인들의 사상과 문화를 반추함으로써 서양의 근대정신의 원형을 재조명한 것이다.  

해밀턴이 그리스 문명을 읽어낸 1차적 텍스트는 그리스 문학이다. 그는 헤로도토스, 투키디데스, 크세노폰, 호메로스, 아리스토파네스, 핀다로스, 아이스퀼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등 역사가, 시인, 비극작가 등의 빛나는 작품 속에 내재된 그리스인의 정신과 활동, 예술적 지향을 읽어냈다.  

그리스 문학작품은 당대 그리스인들의 희로애락과 심오한 지식, 철학 세계를 반영한다.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의 문학, 예술, 철학의 잔해들은 그리스인들이 창출한 모든 것의 극히 일부일 뿐이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도 그리스 문명의 탁월성은 두드러진다.  

저자는 "그리스인들이 첫발을 내디딘 사상과 아름다움의 모든 영역이 최고의 수준에 이르렀다"고 말한다. "어느 조각품도 그리스 조각품에 견줄 만한 것이 없고, 어느 건축물도 그리스 건축물보다 더 아름답지 못하며, 어느 문학작품도 그리스 문학작품보다 더 우수한 것이 없다"고 단언한다.  

그리스인들은 다른 어떤 민족보다 유달리 이성과 정신을 중시했다. 인간 이성의 존중은 이성의 지배를 위한 법률의 존중으로 이어졌고, 개개인의 자유를 소중하게 여기는 유전자를 만들어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군주와 권력에 굴종하는 것을 수치스럽게 여겼다. 이런 정신은 민주주의의 창안으로 자연스럽게 구현되었다. 

그리스인들이 창안한 그리스 문학은 자신들의 취향과 정신세계를 잘 드러낸다. 이디스 해밀턴은 그리스인들의 꾸밈없는 삶의 태도가 문학작품에도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파악한다. 그리스 문학작품의 표현이 "수수하고, 직설적이고, 사실적"인 것은 윤색과 과장을 혐오한 그리스인의 현실적 취향의 반영이라는 뜻이다.  

   
▲ 그리스의 비극 및 희극이 공연되던 아테네의 디오뉘소스 극장의 유적이다. 아크로폴리스 정상의 남쪽 방벽 쪽에서 바라볼 때 전경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다. ⓒ박경귀

해밀턴은 고대 그리스 작품의 단순함, 명확함을 근대의 영문학 작품들과의 비교를 통해 극명하게 설명해준다. 저자의 영문학에 대한 폭넓은 이해는 고대 그리스인들의 작품세계와의 다양한 비교를 깊이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아리스토파네스와 영국 극작가 길버트의 비교도 흥미롭다. 소포클레스와 셰익스피어의 비교도 그렇다.

"길버트가 몇 인치짜리 캔버스를 갖고 있다면 아리스토파네스는 몇 마일짜리를 가지고 있다"고 비유할 만큼 아리스토파네스의 작품이 탁월했고, 당대의 청중들의 지적 수준 또한 높았다고 말한다. 영문학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갖추면 저자의 비교문학적 해석의 의미를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듯하다.  

이디스 해밀턴은 문학작품에서 시작하여 그리스 문명 전반의 탐색과 섬세한 해석으로 확장했다. 이를 통해 그는 당대의 문학과 역사가 그리스인들의 이성과 정신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읽어내려고 시도했다. 특히 세 명의 그리스 비극작가들의 작품세계를 비교하여 그리스인들의 각기 다른 전형적 인간형을 찾아보기도 하고, 이들의 작품 속에 녹아있는 시대정신과 근대의 문학작품들과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규명하기도 한다.  

특히 해밀턴이 에우리피데스의 작품이 놀란 만한 근대성을 보이고 있다고 해석하는 대목이 눈길을 끈다. 에우리피데스의 작품이 보여주는 "불행한 것에 대한 상냥하고 깊은 동정심과, 인생의 가치에 대한 그의 사려"는 인간의 존엄에 대한 깊은 이해와 사색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해밀턴은 에우리피데스를 인간의 삶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갖고 있으면서, 불의를 참아내지 못했던 이스라엘의 가장 탁월한 예언자 이사야에 견주어 그리스 최고의 근대적 이성을 갖춘 작가였다고 평가한다.

고대 그리스인은 "세상을 정확하게 봄과 동시에 아름다운 것으로 보는 능력"을 가졌다. 그리스인들의 사고는 자유로웠고, 고통과 슬픔 속에서도 끝까지 분투하는 삶을 숭상했다. 이를 바탕으로 현실의 삶에 대한 열정은 희극과 비극을 창안해 냈다. 아이스퀼로스와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의 비극작품들은 이러한 그리스인들의 삶을 더 극적으로 표현하여 그리스 청중들을 감동시키고 훈육했다.  

그리스인이 비극을 창안해 낼 수 있었던 것도 때로 신과의 대결도 불사할 만큼 어떠한 고통과 끔찍한 재난도 이겨내려는 인간의 집념과 의지를 아름답게 보았기 때문이 아닐까. 이런 차원에서 볼 때 그리스인들이야말로 진정한 인본주의자들이다. 신본주의(神本主義)에 대한 회의가 팽배한 현대에 그리스 문명의 정신을 부활시켜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고대 그리스인들의 힘은 인간 이성과 정신의 존중에서 나온다. 그들은 최초의 지식인이자 이성인이었다. ‘탁월함’을 추구하는 것은 그들의 지배적인 이상이었다. 그리스 문명의 밑바닥에 흐르는 힘은 인간 존중, 자유정신의 숭상이다. 이는 고대 그리스인들의 시대정신이자, 현대 인류의 공동의 유산이기도 하다. 이런 지배적 이상과 정신은 문학, 철학, 미술, 건축의 영역에서 그대로 추구되었고, 모든 분야에서 탁월한 문명의 유산들을 만들어 냈다. 현대인들은 고대 그리스인에게 진 빚이 너무나 크다.  /박경귀 대통령소속 국민대통합위원회 국민통합기획단장·사단법인 행복한 고전읽기 이사장

   
▲ ☞ 추천도서: 『고대 그리스인의 생각과 힘』, 이디스 해밀턴 지음, 이지은 옮김, 까치(2009), 359쪽.

[미디어펜=편집국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