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항공사 3조200억원·해운사 1조2500억원 투입
항공 지상조업사 10여개, 항만 하역회사 250여개로 지원 효과 의문
[미디어펜=박규빈 기자] 코로나19 사태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가 기간산업안정자금을 40조원 규모로 조성하기로 했으나 항공사·해운사 협력사들에 대한 지원은 1조원에 그쳐 실질적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7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한국산업은행법 시행령 일부가 개정됨에 따라 국가기간산업안정자금 지원 대상에 항공 지상조업사들이 포함됐다. 또한 지난 20일에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소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총 40조원 규모로 조성될 기간산업안정자금에 대해 논의했다.

정부 당국은 항공·해운 등 규모가 큰 기업들에 대해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해당 산업군의 기업들이 도산할 경우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굉장히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원에도 관련 업계 2·3차 벤더사들은 표정이 별로 밝지 않다. 정부가 도외시 한다는 인식 탓이다.

   


아시아나항공 지상조업 자회사 아시아나에어포트 관계자는 미디어펜과의 통화에서 "40조원 중 총 1조원 가량이 지상조업사·항만하역업체 등 운수 협력사들에 배분될 것으로 들었다"면서도 "겉으로 보기엔 지원액수가 많아 보이지만 관련 회사들이 많아 1개 기업당 얼마나 받을지, 받고도 버틸 수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국내 지상조업사는 한국공항·아시아나에어포트·JAS·스위스포트코리아·샤프에비에이션케이·ATS·위더스 에어포트 서비스·이스타포트 등 10여개다. 이 중 이스타항공이 출자해 설립한 지상조업사 이스타포트는 지원을 받기도 전에 근로자 수백여명에 대한 계약을 해지하고 사실상 폐업 수순을 밟고 있다. 

3조원대 지원을 받은 항공사들과는 영 딴판인 셈이다. 실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대한항공에는 1조2000억원, 아시아나항공에는 1조7000억원 등 2조9000억원을 투입키로 했고, 상대적으로 적은 지원이 따른 LCC에도 1200억원이 집행됐다.

이와 같은 흐름은 비단 항공업계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 해운업계 또한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다. 지난해 5월 회계법인 삼정KPMG 경제연구원은 해운업계 전반을 다룬 리포트 '해운업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펴낸 바 있다. 이에 따르면 2017년말 기준 해운업계 자본잠식은 5개사, 잠식비율 1000%↑7개사·400%-1000% 미만 15개사 등 코로나 이전부터 경영 상태가 좋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나있다.

정부는 지난달 23일 HMM에 만기가 도래한 선박 금융 상환액 4700억원을 지원하기로 하는 등 총 1조2500억원 규모의 유동성을 공급하기로 의결했다. 이 외에도 정부는 해운분야에도 마찬가지로 차입금 5000억원·근로자 300명 이상이라는 조건을 달아 기간산업안정자금을 집행하기로 결정했다.

이 기준에 따르면 HMM·팬오션·대한해운·장금상선·고려해운 등 대형 해운사가 수혜 대상으로 점쳐진다. 대한선주협회 관계자는 "이 경우 소형 선사들은 한국해양진흥공사를 통해 수혈을 받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항만하역작업 현장./사진=CMA CGM


반면 해양수산부는 지난달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항 항만물동량이 총 1억2184만톤으로 전년 동월대비 8.9%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항만 관련 물류업계의 전체적인 실적도 악화됐을 것으로 보이지만 해운사에 비해 규모가 작고, 250여 항만 하역업체들이 10여개 항공사 지상조업사들과 묶여 1조원 규모의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는 이야기가 도는 만큼 실질적으로 얼마나 지원 효과를 보일지는 의문이라는 지적이다.

[미디어펜=박규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