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경영 핵심 전략 '탄소중립'…탄소중립 실현 위해 총력
IT·소비재 넘어 자동차·에너지까지 탄소중립 선언
글로벌 기업의 새 조건 '탄소 중립'
기후 변화가 세상을 바꾸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살 곳을 잃은 ‘북극곰의 눈물’이 이제 우리의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인류의 미래에 대한 경고음도 하루가 다르게 높아지는 상황이다. 강대국과 글로벌 리더, 기업들은 기후 재앙을 피하자는 대원칙 속에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그러나 기후가 바꾸고 있는 세상은 다양한 이해관계로 얽혀 있다. 새로운 시대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강대국들의 헤게모니 다툼, 기회를 잡기 위한 기업들의 전략이 시시각각 변화하고 있다. 우리 역시 기후 변화에서 자유롭지 않다. 재편되는 국제질서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정책과 냉철한 전략이 요구된다. 미디어펜은 ‘기후위기 리포트’ 심층 기획시리즈를 통해 ‘신기후 시대’에 우리가 맞닥뜨린 현실을 짚어보고 급변하는 환경에서 도약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본다. <편집자주>

[미디어펜=김태우 기자]기후변화 대응이 전 세계에 공통 과제로 떠오르면서 글로벌 기업들이 기후경영을 선언하고 탄소중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정보기술(IT)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나 식품업체 네슬레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글로벌 대형 기업들이 이에 동참하고 있다.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배출량만큼 대기 중 온실가스를 제거해 순배출량이 '0'이 되게 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 2019년 EU 집행위원회는 탄소 국경세로 통하는 1조 유로 규모를 넘는 '유럽 그린딜'을 발표해 탄소 중립 정책을 본격화 했다. 이로써 배출권 거래 활성화 분위기가 조성됐다./사진=EU 집행위원회


예를 들어 제품생산 등을 위해 사용한 화석연료로 온실가스가 배출되며 그만큼 탄소를 잡는 기술을 개발하거나 대체연료를 활용해 배출자체를 줄이고, 숲을 조성하는 등의 방식으로 배출된 탄소를 반감시키는 방식이다. 

MS는 지난해 1월 탄소처리기술 개발에 10억달러(한화 약 1조2300억원) 규모의 '기후혁신기금'을 조성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를 통해 MS는 2050년까지 지금까지 배출한 탄소 전체를 제거하겠다고 선언했다. 

또 다른 IT기업 구글과 아마존 등도 탄소중립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현재 IT기업들이 운용하는 데이터센터에서만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3.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에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구글은 도심에서 탄소 배출량을 추적하고 줄일 수 있는 디지털 툴을 개발했다. 또 환경기술 프로젝트에 투자해 자체 배출량을 상쇄하겠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아마존은 기후 위기 대응 기금 '베조스 어스 펀드'를 조성했다. 제프 베조스 전 아마존 최고경영자(CEO)는 펀드조성 당시 "지구에 닥친 가장 큰 위협인 기후변화에 대응하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식품업체 네슬레도 같은 시기 오는 2050년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를 달성할 것이라는 방침을 내놨다. 앞서 지난 2015년 네슬레는 미국 중북부 지역 파우돈 공장에 혐기성 소화방식 시스템을 도입해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의 10%를 감축하고 있다. 

이는 초콜릿이나 사탕 등 당류 제품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활용해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 자연적으로 생분해된 박테리아 부산물을 전력 생산에 활용하는 시스템이다. 

스타벅스도 오는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계획을 밝히고 노력중이다.

중장비업체 볼보건설기계그룹은 과학기반 탄소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가 검증한 감축안을 발표하고 2040년까지 탄소중립 가치사슬을 만든다는 목표를 수립했다고 밝혔다. 

볼보그룹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SBTi의 목표 보다 10년 빠르게 설정한 것은 제품의 평균 수명주기가 고객 사용기간 기준 10년이기 때문이다.

볼보건설기계는 2030년까지 내부 사업장·시설·제조공정에서 탄소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이고, 제품 사용 중 발생하는 배출량 30% 감축이라는 중간목표도 세웠다. 건설기계산업의 경우 장비가 공장을 떠난 직후부터 사용시 발생되는 간접배출이 전체 배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 에쓰오일 울산공장/사진=에쓰오일


글로벌 시장을 무대로 활동하고 있는 국내 기업 현대차그룹 역시 이같은 움직임에 동참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7일 현대차·기아 등 주요 5개사가 7월 중 '한국 RE100 위원회'에 가입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100은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 100%'의 약자로, 글로벌 비영리단체인 기후그룹(The Climate Group)과 글로벌 환경경영 인증기관인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 Carbon Disclosure Project)가 2050년까지 기업 사용 전력량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목표로 2014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캠페인이다.

연간 100GWh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RE100에 참여하는 기업은 가입 이후 1년 내에 중장기 재생에너지 전력 확보 계획을 제출하고 매년 이행 상황을 점검 받는다.

현대차그룹은 이를 통해 사업장 내 사용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완전히 대체해, 지속가능한 발전과 탄소중립 실현에 앞장서겠다는 의지의 표명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밖에도 현대차그룹은 친환경차의 보급확대를 통해 물류분야의 탄소중립을 돕기위한 노력도 펼칠 것을 약속 한 바 있다. 

이 밖에도 국내 다수의 기업들이 탄소중립을 위해 다양한 경영방침을 발표하고 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중이다. 

글로벌 기업들이 탄소중립을 선언하는 것은 기후위기가 기업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결론을 보면 21세기 말까지 산업혁명 이전과 비교해 기온 상승폭을 1.5℃ 이하로 묶지 않으면 지속적인 생존이 어려워진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구의 평균온도는 산업혁명 이전과 비교해 이미 약 1℃ 넘게 상승했고, 한반도 온도는 지난 100여년간 1.8℃ 상승했다. 

국가 차원의 환경규제 강화도 기업의 탄소중립 추진이란 생존노력을 부추기고 있다. 국제사회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10년에 비해 45% 줄이고,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세부계획을 내놓았다. 

유럽연합(EU), 영국, 캐나다 등이 2050년을 탄소중립 원년으로 정했다. EU는 특히 탄소 배출량이 많은 국가 수입품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는 '탄소국경세' 제도까지 추진하고 있다. 탄소중립 기업 제품만 가격 등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유럽 연합(EU)은 '유럽 그린딜' 전략을 발표하며 기후변화·그린·디지털 등 글로벌 이슈에 대한 주도권을 잡고자 관련 분야에 힘을 쏟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제조 기업, 석유회사까지 탄소중립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이루겠다고 밝힌 영국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이 대표적이다. 

글로벌 석유회사인 BP는 일평균 264만 배럴 규모 석유를 생산하고 있다. 이런 BP가 탄소중립을 밝힌 배경은 탄소중립이 시대 흐름을 거스를 수 없는 화두로 등장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버나드 루니 BP CEO는 "우리는 완전히 변해야 한다"며 "에너지 시스템을 바꾸는 데 투자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글로벌 기업들의 탄소중립 선언은 더 빠르게 진행될 전망이다. 기업들의 자금줄을 쥐고 있는 금융시장도 기후위기를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세계 최대 규모의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은 탄소배출 등으로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떨어뜨리는 기업에는 투자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세계최대규모의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기후위기에 대응하지 않는 기업의 주식이나 채권은 보유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이 밖에도 해외 연기금 역시 기후위기 대응을 자금운용의 제일덕목으로 꼽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인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탄소배출이 많은 기업을 투자제외 블랙리스트에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국교회인 성공회도 탄소배출 감축 노력을 하지 않을 경우 투자를 철회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기후위기 대응은 기업 가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무디스는 기업 소비전력의 재생가능에너지 충당 여부 등을 신용평가의 주요 기준으로 내세우고 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